Humans of42_logo

릴레이 인터뷰 2. 비전공자 Member - jungyeok

jungyeok의 이야기

2023-12-05

Photo of jungyeok

Q. 무 교수 학습의 단점을 감안하더라도 그걸 커버할 만한 장점이 있다면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대학에선 교수님들한테 배우잖아요. 그 분야에 대해서 깊게 연구한 사람들한테 배우는 건데 여기서도 그 정도의 지식을 스스로 배울 수 있냐고 물어보면, 그게 되는 사람이 별로 없는 것 같아요. 사람마다 다르다고 말하는 게 정확하겠지만 비율상 많이 적은 것 같아요.

그럼에도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오손도손 코딩을 공부할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라고 생각해요. 전공자 혹은 경력자들의 전공 지식 및 업무와 관련된 내용들을 접할 수 있었고 비전공자의 입장에서, 자세한 내용을 학습하기 힘들었는데 이곳에서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학습할 수 있었어요. 그분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드리고 싶네요.

Q. 보통 관심을 많이 가지지 않는 로우 레벨 지식을 계속 공부시키는 거에 이점이 있다고 느끼시나요?

마지막에 ft_transcendence 과제를 할 때 JS를 처음 써봤는데 그때 느꼈어요. 처음 마주한 언어로 많은 기능을 가진 웹 서비스를 구현해야 하는데, 그 언어에 익숙해지는 과정이 필요 없더라고요. JS를 활용하는 것도 C와 같은 기반을 가지고 있어서 한눈에 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어요. 새로운 언어를 배우기 위한 장벽이 낮아졌다고 느꼈습니다.

또 금년도 예비창업패키지라는 정부 지원사업을 진행하면서 하드웨어를 연구하는데, 42에서 배운 지식이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아두이노로 ADC를 만드는 것에 대해서 학습하고 있는데 굉장히 비슷하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Photo of jungyeok

Q. 본인이 생각하는 42 서울의 장점 / 단점 하나씩 말해주세요.

자취의 장단점을 얘기할 때 장점이 뭔가요? 엄마가 없어요. 단점이 뭔가요? 엄마가 없어요. 이렇게 똑같은 게 나오잖아요. 42 서울도 학력, 나이 제한 등이 없는 등 자유도가 높지만, 취 창업의 직접적인 도움을 제공하진 않거든요. 그래서 이게 큰 장점이면서 동시에 단점이라고 생각해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의 생각, 경험을 공유받을 수 있어서 도움이 되었고 앞으로도 그럴 거로 생각해요. 커널을 개발하시는 분도 계시고, 그래픽스를 깊게 연구하시는 분도 계셔서 자연스럽게 새로운 분야를 접할 수 있었어요.

그런데 그만큼 다양한 사례가 존재해요. 교수가 없는 만큼 스스로 넓고 깊게 학습해야 하는 상황인데 지금껏 공부를 안 해본 경우에는 그냥 공부하는 방법부터 다시 잡아야 해요. 전혀 별개의 분야를 공부했던 사람들도 힘들어하고요. 이렇게 갈피를 못 잡는 분들은 주변 사람들한테 도움을 받아야 하는데 이 시스템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Q. 어찌 보면 취업이라는 현실적인 미래와 동떨어진 교육이라고 느낄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생각 및 계획은 무엇인가요?

42가 원래 취업이 아니라 창업을 권장하는 집단으로 알고 있거든요. 이게 한국에 들어오면서 정부의 지원금을 받게 되고, 실적을 만들어야 하는 상황인데요. 단기적인 성과에 대한 압박을 받는 게 독이 되는 것 같아요.

빨리 취업하길 원하는 분들은 이곳에서 큰 도움을 받기 힘든 것 같아요. 오히려 길게 봐서 2년을 채우고 한 분야를 깊게 파면 취업에도 충분히 메리트가 있어요. 2년씩이나 지원해 주는 곳이 흔치 않은데 그 차별점을 잘 살리는 게 개인의 역량에도 이어질 것 같아요.

Q. 42에 온 이유와 아직 이곳에 남아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대학교 동기를 통해 42 서울을 알게 됐어요. 개인 사업을 준비하면서 24개월 동안 매달 100만 원이면 최소한의 생활비는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아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학생이었다가 바로 사업을 하기에는 경험도, 돈도 없는 상황이어서 리스크를 줄이고 싶었거든요. 앞으로도 이곳의 공간과 커뮤니티를 활용하며 다닐 것 같습니다.

interviewer

seojilee

photographer

hdoo

editor

jiwa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