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mans of42_logo

이렇게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 자체도 행복해요

sohan의 이야기

2021-07-20

Photo of sohan

펫 채널(#42seoul_other_pet)은 직접 요청해서 만들었어요. 이런 채널이 있을 줄 알았는데 없더라고요. 유튜브 미팅할 때 폴라베어님이 채널 개설 조건에 대해 얘기하신 적이 있어요. 그 이후에 개인적으로 문의드렸더니 만들어주셨어요. 채널 멤버는 본인이 찍은 것 같은 반려동물 사진을 프로필로 하신 분들이나 동물 사진 올라왔을 때 반응해주신 분들 위주로 일일이 추가했어요. 다행히도 다들 좋아하시더라고요.

함께 사는 친언니가 고양이 두 마리를 키워요. 언니의 지인이 도로에서 오들오들 떨고 있는 남매 고양이를 구조했는데, 그중에 한 마리를 언니가 입양하기로 했어요. 그런데 나머지 한 마리가 당장 갈 데가 없어서 그 한 마리도 임시 보호하기로 했죠. 그런데 떨어지면 큰일 날 것처럼 너무 돈독하게 잘 지내니까, 차마 한 마리만 보낼 수가 없어서 두 마리 다 키우게 됐어요. 둘 다 우리 집에서 아주 잘 지내요. 이름은 언니가 지어줬는데 첫째는 성격이 둥글둥글해서 따숨, 둘째는 발에서 고소한 냄새가 나서 꼬숨이에요.

고양이들이 요즘 ‘간식'이라는 말을 배웠어요. 언니가 간식을 줄 때마다 ‘간식, 간식'이라고 말하니까 배운 거예요. 간식이라는 말을 배우니까 되게 편한 게 베란다로 나가면 다시 들어오라고 해야 하거든요. 원래는 말을 안 들으니까 뭐라고 해도 안 와요. 그런데 이젠 ‘간식' 하면 쪼르르 와요. 안타깝게도 조만간 저는 이사를 하게 돼서 이제 고양이들이랑 떨어져요. 자주 놀러 가야죠.

맛있는 거 먹는 게 삶의 낙 중 하나에요. 슐랭 채널(#42seoul_club_42chelin)에서 매일 갈만한 밥집을 공유하려고 노력 중이에요. 식당 선택의 팁이 있어요. 일단 먹고 싶은 메뉴가 있으면, 카카오맵에서 관련 키워드를 쳐요. 카카오맵을 쓰는 이유는 네이버맵보다 평점이 짜서 그렇습니다(웃음). 그럼 그 근방의 가게를 찾아주거든요. 가게들을 눌러보면서 평점 위주로 선택해요. 평점이 괜찮고 별점 낮은 순으로 정렬했을 때도 안 좋은 평이 그다지 없는 곳들이요. 경험적으로 봤을 때 안 좋은 평 중에 비방을 제외하고 ‘비판’으로 볼 수 있는 내용은 직접 가보면 ‘이 말이 그 말이구나' 싶거든요. 카뎃분들의 식당 선택이 조금 더 편해지도록 맛집을 공유하고 있지만, 모든 사람이 만족하는 밥집은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해요. 입맛이 개인적인 영역이기 때문에 ‘본인 입맛에 맞는 게 맛집'이죠.

클러스터 근처에서 식사하고 싶어 하는 분들도 많은 것 같은데, 저는 맛집을 찾아서 좀 먼 곳에 가기도 해요. 음식을 좋아하니까 그 정도의 불편함은 감수해요. 열정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웃음). 맛집 포털을 만들어보고 싶은 생각도 있어요. 클러스터 주변의 맛집을 정리해서 카뎃들의 메뉴, 식당 선택을 도와주는 거죠. 사실 회사 다닐 때 심심해서 비슷한 걸 만들어본 적이 있어요. 엑셀에 음식점 주르륵 써놓고 버튼을 누르면 오늘의 식당이 뜨게 끔요. 이렇게 말하니까 진짜 먹는 거에 미친 사람 같긴 한데, 살짝 미쳐있는 게 맞는 것 같기도 하고(웃음).

Photo of sohan

42서울 오기 이전에 공공기관에서 아르바이트를 했는데 사무보조 업무다 보니까 귀찮은 일이 많았어요. 예를 들면, 상품분류 코드가 있는 상표 데이터를 홈페이지에서 복사해서 엑셀에 붙여넣어 달라는 경우가 있었어요. 총 항목 개수로 따지면 2만여 개였고, 홈페이지에서 한 번에 볼 수 있는 자료의 개수는 200개였어요. 그러면 적어도 내가 100번을 스크롤 해서 붙여넣어야 한다는 거잖아요. 엑셀에 바로 붙여놓으면 형식이 안 맞으니까 다듬어주는 일도 해줘야 하고요. 할 수는 있는데 번거롭죠. 이거 분명히 코드로 짜서 자동화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파이썬 웹 크롤링으로 원하는 HTML 태그를 따와서 데이터를 긁어오도록 만들어봤어요. 이걸 해보니까 ‘나 개발해도 되겠다' 싶었어요.

개발이라는 목표가 생기기 전까지는 자존감이 굉장히 많이 떨어진 상황이었어요. 남들은 다 번듯한 직장 구해서 열심히 살고 있는데, 나만 이렇게 알바하고 있나 싶기도 하고. 인생이 망했다고 생각했는데, 목표가 생기고 42서울에 와서 피신하면서 자신을 재발견했어요. 저는 의지가 약한 사람인 줄 알았어요. 그런데 피신에서 매일 스스로 밤을 새우다 보니 ‘나 이렇게까지 할 수 있네, 나 의지박약 아니네, 내가 그냥 하고 싶은 게 뭔지 몰랐구나' 싶어서 기분이 좋았어요. 비록 피신에서 떨어졌어도 괜찮았을 거예요. 저 정말 열심히 했거든요. 사실 한편으론 ‘내가 합격 안 하면 누가 할까' 싶은 생각도 했죠(웃음). 설레발치면 실패할 때가 많으니까 이건 속으로만 생각하고 ‘겸손하자' 마음 다잡았지만요.

피신 때 격려의 글이 기억에 남아요. ‘내가 잘 못 하는 것 같다고 좌절하지 마세요. 당신은 분명히 어제보다 오늘 조금 더 알고 있습니다’ 이런 의미의 문장이었는데요. 피신하는 동안 그 말이 정말 힘이 되더라고요. 피신 3주 차 때 회의감이 들면서 ‘내가 이걸 지금 하고 있는 게 맞나' 싶었는데, 그 문장을 보고 나서 원동력이 생겼어요. ‘진짜 그러네, 나 얼마 전까지만 해도 포인터가 뭔지 몰랐는데 오늘은 아네' 이런 생각이 드는 거죠. 앞으로도 스스로 격려하는 말로 쓸 수 있을 것 같아요.

본과정 들어온 지는 2개월 됐어요. 아직까지는 굉장히 재밌어요. 집요함이 있는 편인 것 같아요. Get Next Line(GNL) 과제 할 때, 보통 배열을 많이 쓰는데 연결리스트로 한번 해보고 싶어서 고생했어요. 삼 주에 걸쳐서 코드를 짜면서 세 번 정도 rm -rf 한 것 같아요. 솔루션을 되도록 안 보고 문제를 푸는 편이에요. 대학 전공인 기계과 수업에서 역학 문제를 풀 때도, 웬만하면 제힘으로 생각해내서 풀었어요. 답지를 보면 뭔가 자존심 상하는 기분이 들어요. 이렇게 하는 게 어찌 보면 더 오래 걸리고 비효율적인 일이라고 할 수도 있겠죠. 그래도 제가 스스로 알아내고 싶은 마음이 큰 거잖아요. 타인의 코드는 최소한으로 참고하고 ‘나의 것으로 만들고 싶다'고 생각해요.

비슷한 사람들이 모여있는 곳에 오니 성격이 좀 바뀌는 것 같기도 해요. 회사 다닐 때는 나한테 말 좀 안 걸었으면 좋겠고, 사적인 질문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고 그랬어요. 하지만 알고 보니 내 성향에 맞지 않는 곳에 있어서 불편했던 거구나 싶어요. 여기 있으니까 너무 재밌거든요. 슬랙에 댓글 달고 글 올리는 것도 노는 것도 재밌고요. 누가 어디 가서 옥토캣(GitHub 캐릭터)이 낙지 음식점 로고로 쓰이는 걸 보고 웃겠어요. 그런 개발 유머를 나눌 때 집처럼 느끼고 편안해요.

클러스터에 매일 나오려고 나름 노력하고 있어요. 격일제로 출근하던 피씬 때와 달리 언제나 공부하러 나올 수 있다는 게 행복해요. 그리고 이렇게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 자체도 행복해요. 지금 제가 하고 싶은 걸 하고 있다는 의미니까요.

* 이번 인터뷰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4단계로 격상되기 이전 진행됐습니다.

interviewer

yechoi

photographer

jwon